배가 고파진 HE씨는 몇 끼니째 라면에 찌들은 상태라 입에 물린 라면을 색다르게 먹기 위해 구글에서 ‘맛있는 라면 레시피’ 라고 검색 했습니다. 결과 중 ‘+1’버튼이 활성화 되어있는 ‘맛있는 해물 라면 레시피’를 유심히 보니 같은 고등학교 출신의 라면왕 ‘이배달’이 추천한 것이지 않겠습니까? 신뢰를 얻은 HE씨는 ‘맛있는 해물 라면 레시피’ 검색결과를 클릭하게 됩니다.
출처: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76196
이것이 구글에서 선보일 예정인 ‘+1’ 추천 기능입니다.
획일적이던 검색결과에 사회성(소셜)을 가미한다는 것은 정말 축하할 일입니다. 더 이상 기계화된 검색결과에 당하지 않아도 될 테니까요. 대부분의 사람은 광고나 상품설명 글보다 절친한 친구의 한마디가 더 신빙성이 있고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잘 맞아 들어간 것이 아마존이나 인터파크 등 국내 쇼핑업체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리뷰’라고 할 수 있고 상당수의 사용자들이 상품설명 보다는 리뷰를 먼저 본다는 결과가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좀 더 마케팅적으로 본다면..
검색결과에 나와 관련이 있는 사람들의 추천결과를 표시해 주는 +1 추천기능은 구글의 다소 소극적인 적용에(검색 순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따라서 구글의 돈벌이에 대단한 변화는 없을지도 모르지만. 그러나 광고주 입장에서 +1기능이 활성화 될 수록 사람들은 광고를 피해 클릭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을 들게 합니다. 이미 ‘구글 검색엔진 알고리즘 변경’ 이슈로 미국의 광고주들은 핵폭탄을 맞았다고 하는데(주로 피해를 입은 기업이 거액의 SEO1 컨설팅을 받을 정도로 구글에 치중했던 광고주들임) 이거든 저거든 이미 한번 발등 찍힌(?) 광고주 입장에서 검색 광고에 대해 많이 위축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광고주들의 위축은 장기적으로 본다면 사용자들에게서 검증된 Right(올은) 검색결과를 보여주게 됨으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게 될 것입니다. 이런 사용자의 만족도 상승은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을 악의적으로 이용한 마케팅을 차단할 수 있고, 결국 광고수입에서 ‘선수익’ 구조를 더욱 탄탄히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마도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이런 효과를 노린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을 해 봅니다.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의 광고는 의미 없으니까요.
여튼 구글의 본격적인 소셜 서비스들은 계속해서 나쁜 결과들을 가지고 왔었는데 이번 기능은 사용자에게 어떤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을지 상당히 기대됩니다.
일단 사용자들의 관심부터 끌 수 있을 지가 관건이군요! :)
아래 동영상으로 +1의 개념을 확인하세요.
덧. 아래는 예전에 추가된 검색 '순간 미리보기' 기능입니다.
구글 '순간 미리보기' 화면
- 검색 엔진 최적화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웹 페이지 검색엔진이 자료를 수집하고 순위를 매기는 방식에 맞게 웹 페이지를 구성해서 검색 결과의 상위에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말한다. 웹 페이지와 관련된 검색어로 검색한 검색 결과 상위에 나오게 된다면 방문 트래픽이 늘어나기 때문에 효과적인 인터넷 마케팅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인 작업 방식은 특정한 검색어를 웹 페이지에 적절하게 배치하고 다른 웹 페이지에서 링크가 많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문으로]
'IT > IT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구글이 MS와 싸우는 방법.jpg (0) | 2012.10.31 |
|---|---|
| 구글의 깜찍한 선물 화면이 기울어지는 이스터에그 (0) | 2011.04.07 |




